Posts Message Broker 비교해보기
Post
Cancel

Message Broker 비교해보기

‘나만의 웨딩 플래너’라는 MSA 기반의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Message Broker를 선택하기 위해 몇 가지 Message Broker에 대해 알아보고 결정하자

RabbitMQ


  • 2007년에 출시되었으며 가장 먼저 만들어진 메시지 브로커 중 하나이다.
  • Erlang으로 개발되었으며, Erlang은 기본적으로 Erlang 클러스터 노드의 쿠키를 동기화하여 분산 컴퓨팅을 지원한다. 따라서, Zookeeper와 같은 third-party 클러스터 관리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 클러스터에는 일반 클러스터 모드와 미러 클러스터 모드의 두 가지 모드가 있다.
  • priority queuing, delay queuing과 같은 다양한 기능 제공
  • 영속성 : 영구 및 임시 메시지가 모두 지원
  • AMQP(Advanced Message Queuing Protocol)를 구현한다. 따라서, STOMP, MQTT, WebSockets과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 점대점, 요청/응답, pub/sub 모델 모두 지원 (동기, 비동기 통신 모두 지원)
  • RabbitMQ 사용자는 메시지 전달을 위한 정교한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보안, 조건부 라우팅 등)
  • 강력한 인증 및 표현식 기반의 인가를 갖는다.
  • 관리자가 스트림 기록에 액세스하려는 경우, 아파치 카산드라와 종종 함께 사용된다.
  • 디스크에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지만 메시지의 순서가 보장되지는 않는다.
  • 큐 모니터링을 위한 GUI와 최적의 REST API를 제공한다.
  • RabbitMQ는 큐 미러링을 통해 고가용성을 실현한다. RabbitMQ의 큐 개념은 Kafka의 파티션과 유사하다.
  • complex routing을 지원하는 많은 기능을 갖추고 있다.
  • master-slave 구조를 갖는다
  • RabbitMQ의 아키텍처는 완벽한 복제 설계로 인해 확장성이 떨어진다.
출처 :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47866161_A_Fair_Comparison_of_Message_Queuing_Systems

ActiveMQ


  • JMS(Java Message Service) 클라이언트와 함께 Java로 작성되었다. 이를 통해 OpenWire, STOMP, REST, XMPP, AMQP와 같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 master-slave 구조를 갖는다
    • master 브로커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slave 브로커는 master 브로커와 동기화하며, 오류로 인해 master가 불능이 되면, Zookeeper가 slave 중 새로운 master를 선택한다.
  • pub/sub, 점대점 모델을 모두 지원한다.
  • 큐와 토픽을 다르게 관리한다.
    • 토픽에 대한 메세지 순서 보장은 없다. 반면, 큐는 Exclusive Queue를 사용함으로써 메세지 순서가 보장된다.
    • 큐에 대해서는 최소 한번의 전달이 보장되며, 토픽의 경우에 전달이 보장되지 않는다.
  • 큐에 있는 메세지는 디스크 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지만, 토픽에 있는 메세지는 기본적으로 보존되지 않는다.
  • JMS는 메시징 미들웨어의 샤딩 메커니즘을 명시하지 않기 때문에 샤딩 기능이 없으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직접 구현해야 한다.
출처 :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47866161_A_Fair_Comparison_of_Message_Queuing_Systems

Apache Kafka


  • 2011년 Linkedin에서 높은 처리량과 짧은 지연 시간 처리를 다루기 위해 만들었다.
  • peer-to-peer 구조를 갖는다.
  • 대량의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도록 구축된 높은 처리량 분산 큐 시스템이다.
  • 분산 스트리밍 플랫폼인 Kafka는 pub/sub 서비스를 복제한다.
  • 영속성이 요구되는 일대다 상황에 이상적이다.
  • pub/sub 모델을 사용하지만 publisher 대신 producer를 subscriber 대신 consumer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 토픽을 파티션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여러 컨슈머가 스트림의 일부를 처리할 수 있고 수평 스케일링을 가능하게 해준다.
  • 카프카는 메시지가 배치될 때 가장 잘 작동한다. 즉, 작은 메시지를 많이 수신하는 대신 대규모 데이터 배치로 적게 수신하므로써 성능이 향상된다.
  • 가장 작은 배치의 크기는 100바이트, 가급적이면 1-10KB가 좋다.
  • 배치 크기가 클수록 구현에 따라 지연 시간이 약간 증가한다(일반적으로 몇 밀리초)
  • 하나의 파티션 내의 메세지는 순서가 보장된다.
  • 기본적으로 최소 한번의 전달을 보증하며, producer가 비동기식으로 제출하도록 설정하면 최대 한 번까지 전달을 보증한다.
  • 모니터링을 위해 GUI가 사전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Kibana를 함께 사용한다.
출처 :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47866161_A_Fair_Comparison_of_Message_Queuing_Systems

Redis


  • 고성능 key-value 저장소 또는 메시지 브로커로 사용할 수 있는 in-memory 저장소이다.
  • 영속성이 없지만 Disk/DB에 메모리를 덤프한다.
  • 실시간 데이터 처리에도 이상적이다.
  • 원래, 레디스는 일대일도 아니었고 일대다도 아니었다. 하지만 Redis5.0 pub/sub을 도입하면서 기능이 향상됐고 일대다 옵션이 됐다.
  • 메모리에만 저장하기 때문에 카프카보다도 빠르다.

비교해보기


전반적인 특징

출처 :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47866161_A_Fair_Comparison_of_Message_Queuing_Systems

성능


처리량(Throughput)

출처 :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47866161_A_Fair_Comparison_of_Message_Queuing_Systems
  • 모두 배치 처리 기술을 사용했다. 즉,메시지가 임계값에 도달하기 위해 누적된다.
  • 균일하게 전송되므로 전송 오버헤드가 감소하고 처리량이 증가한다.
  • 따라서 메시지 크기가 커질수록 배치 처리를 기다리는 시간이 줄어들고 그에 따라 처리량도 증가한다.

지연(Latency)

출처 :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47866161_A_Fair_Comparison_of_Message_Queuing_Systems
  • 카프카와 Rabbit MQ는 다른 시스템보다 긴 지연 시간을 보이는데, 이는 배치 처리를 채택하여 지연 시간을 높이는 대신 처리량을 개선했기 때문이다.

나의 선택은 ?


  • 솔직히, 아직 하나도 제대로 써본 경험이 없어서 위에서 조사한 특징들이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인지 잘 모르겠다 ..
  • Kafka가 처리량, 데이터 영속성 등에서 우수한 것 같으니 Kafka를 먼저 공부하고 사용해보면서 직접 느껴보자

더 공부해야할 부분


  • 메세지 브로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 Kafka

참고 자료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

HTTP의 stateless한 특징과 쿠키, 세션

HTTP의 연결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