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내용은 ‘마이크로서비스 패턴(크리스 리처드슨)’ 3장을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Intro 프로세스 간 통신(Inter-Process Communication) 프로세스들 사이에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행위 또는 그에 대한 방법이나 경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는 애플리케이션을 여러 서비스로 구성...
Multi Page Application vs Single Page Application
MPA(Multi Page Application) 클라이언트가 새로운 페이지를 요청할 때마다 서버에 랜더링하도록 요청한다. 이러한 방식을 SSR(Server-Side-Rendering)이라고 한다. MPA를 사용한다고 알려진 대표적인 서비스로는 Amazon, eBay 등이 있다. 출처 : https://dzone.com/...
BufferedReader의 readLine() 메서드 이후의 코드로 진행이 안되는 현상
상황 ‘자바 웹 프로그래밍 NextStep’ 3장의 과제 중 하나인 웹 서버를 구현하기 위해 HTTP 요청이 서버에 어떤식으로 들어오는지를 보고싶었다. 따라서, 단순 확인을 위해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작성하여 실행시키고 브라우저에서 localhost:8080 으로 요청을 보냈다. public class TestServer { pu...
화면 리디렉션시 쿠키 송신이 안되는 현상
상황 login.html 화면에서 로그인에 성공하면 쿠키에 logined=true 값을 세팅하고 index.html로 리디렉션 시킨다 하지만, index.html 화면을 요청할 때, 기존에 세팅되었던 cookie값이 없어진다. 원인 Set-Cookie 헤더의 속성 중 Path값을 따로 설정하지 ...
JPA 내부 구조 살펴보기
들어가기 전 JPA 내부 구조를 제대로 모르고 사용하면, 오히려 성능 저하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고 한다. 따라서, JPA는 내부적으로 어떻게 동작하는 것인지 알기 위해 인프런 김영한님 강의 를 들으며 공부해보았다. JPA 구동 방식 persistence.xml 예시 <?xml version="1.0" encoding="UTF...
JPA 입문하기
들어가기 전 JPA를 회사 프로젝트에서 사용하긴 했지만, 매우 간단한 CRUD에만 사용해서 사실 정확히는 알지 못했다. 따라서, JPA가 정확히 무엇이고 언제, 어디에 사용하는 것인지에 대해 인프런 김영한님 강의 를 들으며 공부해보았다. JPA란 ? ‘Java Persistence API’를 의미하며 자바 진영의 ORM 기술 표준이다. ...
간단한 DI 컨테이너 구현해보기
들어가기 전 순수 자바코드로 간단한 스프링 DI 컨테이너를 구현해보면서 DI의 필요성, 스프링 컨테이너 동작 원리 등을 이해해보기 위해 약 일주일간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아래의 요구사항들을 구현하며 간단한 컨테이너를 구현해보았다. 컨테이너 생성자 파라미터로 AppConfig.class를 전달받고 해당 클래스의 정의된 메서드를 기반으로 빈...
Java - 자바 제네릭
제네릭 generic : 포괄적인, 총칭[통칭]의 자바는 여러 타입이 존재하기 때문에, 형 변환을 하면서 많은 예외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Java5 부터 도입된 제네릭을 통해 타입 형 변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해준다. 즉, 컴파일 시 이러한 부분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해준다. public class Cas...